Algorithm/Basic12 [알고리즘-기초] 그래프 탐색(깊이 우선 탐색 - DFS) 그래프 탐색 그래프는 기본적으로 각 정점들이 어떠한 연관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자료구조 이다. 그래프는 가장 기본적이고 유연한 구조로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많은 문제들 중 그래프로 해결 가능한 문제가 50% 정도 된다고 이야기하는 엔지니어도 있다. (참고) 해결 가능한 문제들의 예시를 알아보자. 어떠한 것들이 특히 해결이 가능할까? ⓐ 네트워크 :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각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를 정점(vertex , node)로 연결을 간선(edge)로 본다면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하다. ⓑ 경로 찾기 : 특정 위치 간 가장 짧은 경로 / 긴 경로를 그래프를 이용해 찾을 수 있다. 구글 맵 또한 이러한 응용을 한 것이며, 게임 내 NPC 등의 모델도 이를 통해 움직임.. 2023. 3. 31. [알고리즘-기초] 그래프 탐색(너비 우선 탐색 - BFS) 그래프 탐색 그래프는 기본적으로 각 정점들이 어떠한 연관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자료구조 이다. 그래프는 가장 기본적이고 유연한 구조로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많은 문제들 중 그래프로 해결 가능한 문제가 50% 정도 된다고 이야기하는 엔지니어도 있다. (참고) 해결 가능한 문제들의 예시를 알아보자. 어떠한 것들이 특히 해결이 가능할까? ⓐ 네트워크 :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각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를 정점(vertex , node)로 연결을 간선(edge)로 본다면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하다. ⓑ 경로 찾기 : 특정 위치 간 가장 짧은 경로 / 긴 경로를 그래프를 이용해 찾을 수 있다. 구글 맵 또한 이러한 응용을 한 것이며, 게임 내 NPC 등의 모델도 이를 통해 움직임.. 2023. 3. 31. [알고리즘-기초] 힙(Heap) 정렬 힙 정렬 힙 정렬의 시간복잡도는 O(NlogN)으로 빠른 정렬에 속한다. 퀵 정렬은 최악의 경우 O(N^2)의 성능을 내지만, 힙 정렬은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추가적인 배열을 사용하지 않아 메모리 측면에서도 이점을 보인다.(In Place정렬) 완전 이진트리에서 파생된 heap 특성을 사용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으로 힙은 부모의 값이 자식의 값보다 항상 크거나 항상 작다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완전이진트리 형태의 자료구조이다. 완전이진트리는 자식 노드를 왼쪽부터 채워나가는 형태의 자료구조이다. 힙의 개념 완전이진트리와의 차이점은 큰 값이 상위, 작은 값이 하위에 위치한 트리형 자료구조로써 부모-자식 관계가 일정해야 한다. 작은 값이 부모가 되는 힙 형태를 min-heap(최소 힙), 큰 값이 부모가.. 2023. 3. 31. [알고리즘-기초] 셸(Shell) 정렬 Shell Sort(셸 정렬)셸 정렬은 'Donald L. Shell' 이 제안한 방법으로, 삽입 정렬(Insertion Sort)를 보완한 방식이다. 삽입 정렬의 문제점은 무엇이 있을까? 삽입 정렬은 각 데이터가 삽입될 적절한 위치를 찾기 위해서 인접한 데이터와의 여러 번의 비교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즉, 만약 삽입되어야 할 위치가 현재 위치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진 곳이라면 많은 이동을 해야만 제자리로 갈 수 있다. 그런데, 이 삽입 정렬은 Nearly Sorted 상태의 데이터라면 O(n)에 가까운 매우 빠른 성능을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다.그래서 셸 정렬은 기존의 삽입 정렬을 수행하기 전에 전체 데이터를 Nearly Sorted 형태로 만들면 기존의 삽입 정렬을 그대로 처음부터 적용하는 것보다 더 .. 2023. 3. 31. [알고리즘-기초] 삽입(Insertion) 정렬 삽입(Insertion) 정렬삽입 정렬은 현재 비교하고자 하는 target(타겟)과 그 이전의 원소들과 비교하며 자리를 교환(swap)하는 정렬 방법이다. 삽입 정렬은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찾기 때문에 '비교 정렬'이며 정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외에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자리 정렬(in-place sort)'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과정(swap)에서 임시 변수를 필요로 하나, 이는 충분히 무시할 만큼 적은 양이기 때문에 제자리 정렬로 보는 것이다. 이는 선택정렬과도 같은 부분이다. 그리고 이전에 다뤘던 선택 정렬과는 달리 삽입 정렬은 '안정 정렬'이다. 특성설명In-place 알고리즘Memory 상에서 필요 시 상호 위치만 변경될 뿐 추가적인 배열 생성이.. 2023. 3. 31. [알고리즘-기초] 선택(Selection) 정렬 선택(Selection) 정렬선택 정렬은 말 그대로 현재 위치에 들어갈 데이터를 찾아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무작위 데이터 중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고, 그 다음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앞에서 두 번째 데이터와 바꾸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찾기 때문에 '비교 정렬'이며 정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외에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자리 정렬(in-place sort)'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과정(swap)에서 임시 변수를 필요로 하나, 이는 충분히 무시할 만큼 적은 양이기 때문에 제자리 정렬로 보는 것이다.그리고 '불안정 정렬'이다. 특성설명In-place 알고리즘Memory 상에서 필.. 2023. 3.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