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기초] 버블(Bubble) 정렬
·
Algorithm/Basic
버블(Bubble) 정렬두 개의 인접한 원소를 비교하여 정렬하는 방식이다. 왜 Bubble 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찾아보니 정렬 과정에서 원소의 이동이 마치 버블이 수면위로 올라오는 것 같다고 해서 버블(Bubble) 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정렬 방식 중 가장 쉬우니 일단 버블 정렬에 대한 특징만 짚고 넘어가보자. 버블 정렬은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찾기 때문에 '비교 정렬'이며 정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외에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자리 정렬(in-place sort)'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는 과정(swap)에서 임시 변수를 필요로 하나, 이는 충분히 무시할 만큼 적은 양이기 때문에 제자리 정렬로 보는 것이다. 이는 선택정렬과도 같은 부분이다. 그..